본문 바로가기
개발자와 대화할 때 필수 개념, JSON 데이터 다루는 방법 간단 이해! 본 글을 포함하여, JSON, YAML, XML과 관련한 네 개의 글은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 이기곤, 한빛미디어" 를 이해한 후 살을 덧붙여 재구성한 내용임을 밝힌다. 비개발자 관점에서 꼭 필요한 최소 기본 개념을 요약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지난 글에서 프로그래밍의 가장 첫 수업인 "자료형" 에 대해서 아주아주 간단하게 소개했다. 또한 이 자료들을 담는 그릇인 JSON에 대해서 기본 개념을 소개했는데, 기초적이지만 매우 중요한 내용이므로 궁금한 사람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자. 본 글에서는 JSON을 실제로 다룰 때 어떤 점에 유의하면 좋을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JSON 메시지 읽고 쓰기 실무 개발 환경에서는 HTTP 요청 메시지의 문자열을 JSON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2023. 10. 22.
JSON, 무조건 이해 되는 기본 개념! feat. 데이터베이스 몰라도 됨 본 글 및 다음에 이어지는 세 개의 글은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 이기곤, 한빛미디어" 를 이해한 후 살을 덧붙여 재구성한 내용임을 밝힌다. 비개발자 관점에서 꼭 필요한 최소 기본 개념을 요약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때, 가장 처음 나오는 개념이 무엇일까? 마치, "수학의 정석" 을 딱 펼쳤을 때 "집합" 이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파이썬이건 뭐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든지 가장 먼저 나오는 개념은 "자료형(Data type)" 이다. 도대체 그게 무엇이길래 가장 먼저 배워야만 하는 것일까? 자료형을 한글에 비유하자면 자음/모음 이고, 영어에 비유하자면 알파벳이다. 3색 볼펜으로 비유하자면, 빨간색 파란색 검정색을 칠할 수 있지만, 노란색을 칠할 수는 없.. 2023. 10. 15.
XML이 뭔데? HTML이랑 뭐가 다른데? feat. JSON은 또 뭐임? 프로그래밍 입문자라면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개념이 XML이다. 어린 시절 윈도우 기본 메모장으로 HTML 태그 한 번 쯤 끄적여 본 사람이라면 분명 엄청난 혼란이 올 것이다.(내가 그랬다) 뭔가 아는 내용인 것 같긴 한데 이유를 알 수 없이 이해가 안되는 구조다. 왜 그럴까? XML은 HTML과 달리,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관점으로 다시 바라봐야 한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하여 DB를 조회한 결과물 데이터의 모음일 수도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 서버로 보내는 요청 데이터 모음일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HTML은 최종 사용자가 마주하는 화면(웹 브라우저, 모바일 등)에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각적인 문서 양식이다. 파워포인트 파일을 예로 들면, "첫 .. 2023.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