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와 대화할 때 필수 개념, JSON 데이터 다루는 방법 간단 이해! 본 글을 포함하여, JSON, YAML, XML과 관련한 네 개의 글은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 이기곤, 한빛미디어" 를 이해한 후 살을 덧붙여 재구성한 내용임을 밝힌다. 비개발자 관점에서 꼭 필요한 최소 기본 개념을 요약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지난 글에서 프로그래밍의 가장 첫 수업인 "자료형" 에 대해서 아주아주 간단하게 소개했다. 또한 이 자료들을 담는 그릇인 JSON에 대해서 기본 개념을 소개했는데, 기초적이지만 매우 중요한 내용이므로 궁금한 사람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자. 본 글에서는 JSON을 실제로 다룰 때 어떤 점에 유의하면 좋을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JSON 메시지 읽고 쓰기 실무 개발 환경에서는 HTTP 요청 메시지의 문자열을 JSON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2023. 10. 22. JSON, 무조건 이해 되는 기본 개념! feat. 데이터베이스 몰라도 됨 본 글 및 다음에 이어지는 세 개의 글은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 이기곤, 한빛미디어" 를 이해한 후 살을 덧붙여 재구성한 내용임을 밝힌다. 비개발자 관점에서 꼭 필요한 최소 기본 개념을 요약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때, 가장 처음 나오는 개념이 무엇일까? 마치, "수학의 정석" 을 딱 펼쳤을 때 "집합" 이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파이썬이건 뭐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든지 가장 먼저 나오는 개념은 "자료형(Data type)" 이다. 도대체 그게 무엇이길래 가장 먼저 배워야만 하는 것일까? 자료형을 한글에 비유하자면 자음/모음 이고, 영어에 비유하자면 알파벳이다. 3색 볼펜으로 비유하자면, 빨간색 파란색 검정색을 칠할 수 있지만, 노란색을 칠할 수는 없.. 2023. 10. 15. XML이 뭔데? HTML이랑 뭐가 다른데? feat. JSON은 또 뭐임? 프로그래밍 입문자라면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개념이 XML이다. 어린 시절 윈도우 기본 메모장으로 HTML 태그 한 번 쯤 끄적여 본 사람이라면 분명 엄청난 혼란이 올 것이다.(내가 그랬다) 뭔가 아는 내용인 것 같긴 한데 이유를 알 수 없이 이해가 안되는 구조다. 왜 그럴까? XML은 HTML과 달리,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관점으로 다시 바라봐야 한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하여 DB를 조회한 결과물 데이터의 모음일 수도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 서버로 보내는 요청 데이터 모음일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HTML은 최종 사용자가 마주하는 화면(웹 브라우저, 모바일 등)에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각적인 문서 양식이다. 파워포인트 파일을 예로 들면, "첫 .. 2023. 10. 8. 코딩 모르는 사람도 할 수 있다: 네이버 Open API 사용하여 파파고 번역하는 방법! feat. cmd/terminal(명령 프롬프트와 터미널) Windows 사용자라면 "cmd" 한 번쯤은 경험했을 것이다. 맥 사용자는 terminal에 해당한다. 그렇다. 컴퓨터에 뭔가 문제가 생겼을 때, 구글링 하다 보면 한 번쯤 만나게 되는 검정 화면이다. 명령 프롬프트라고도 하는데, 윈도우 사용자라면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R 키를 누르면 "실행" 창이 뜨고, 여기에 "cmd" 입력 후 엔터를 치면 실행된다. 맥 사용자라면 command 키 +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Spotlight Search" 창이 뜨고, 여기에 "terminal" 입력 후 엔터를 치면 된다. 네이버 Open API 얘기하다 말고 왠 cmd냐고? 우리가 모르는 엄청난 기능이 cmd에 숨겨져 있다. 개발자가 아니라도 일단 API 호출 한 번쯤은 날려 볼 수 있는 것이다. 파파고 번역은.. 2023. 7. 14. 진짜 쉬운 API 설명: 온라인 비즈니스 세상에서 API 모르는 사람 없게 해 주세요! API 설명 전,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가지만 짚고 넘어가자. 당신은 매크로, 자동화, 크롤링이란 단어를 아는가? 온라인 비즈니스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었다면, 아니 비즈니스가 아니더라도 특정 사이트의 정보를 자동으로 복붙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매크로, 크롤링은 복붙하는 나의 존재를 사이트에서는 알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API는 상호 합의된 데이터 교환 방식이라는 차이가 있다. 소수 몇 명하고만 합의할 것인지, 신청하는 모든 이들에게 다 합의해 줄 것인지 그 제공 범위는 조금 다를 수 있겠다. 쉽게 말해 API는각자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끼리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만들어진 일종의 규칙이다. 음식점 사례로 알아보는 API 개념 원리! API 개념을 정말.. 2023. 5.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