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 무조건 이해 되는 기본 개념! feat. 데이터베이스 몰라도 됨 본 글 및 다음에 이어지는 세 개의 글은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 이기곤, 한빛미디어" 를 이해한 후 살을 덧붙여 재구성한 내용임을 밝힌다. 비개발자 관점에서 꼭 필요한 최소 기본 개념을 요약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때, 가장 처음 나오는 개념이 무엇일까? 마치, "수학의 정석" 을 딱 펼쳤을 때 "집합" 이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파이썬이건 뭐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든지 가장 먼저 나오는 개념은 "자료형(Data type)" 이다. 도대체 그게 무엇이길래 가장 먼저 배워야만 하는 것일까? 자료형을 한글에 비유하자면 자음/모음 이고, 영어에 비유하자면 알파벳이다. 3색 볼펜으로 비유하자면, 빨간색 파란색 검정색을 칠할 수 있지만, 노란색을 칠할 수는 없.. 2023. 10. 15. XML이 뭔데? HTML이랑 뭐가 다른데? feat. JSON은 또 뭐임? 프로그래밍 입문자라면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개념이 XML이다. 어린 시절 윈도우 기본 메모장으로 HTML 태그 한 번 쯤 끄적여 본 사람이라면 분명 엄청난 혼란이 올 것이다.(내가 그랬다) 뭔가 아는 내용인 것 같긴 한데 이유를 알 수 없이 이해가 안되는 구조다. 왜 그럴까? XML은 HTML과 달리,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관점으로 다시 바라봐야 한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하여 DB를 조회한 결과물 데이터의 모음일 수도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 서버로 보내는 요청 데이터 모음일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HTML은 최종 사용자가 마주하는 화면(웹 브라우저, 모바일 등)에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각적인 문서 양식이다. 파워포인트 파일을 예로 들면, "첫 .. 2023. 10. 8. 코딩 모르는 사람도 할 수 있다: 네이버 Open API 사용하여 파파고 번역하는 방법! feat. cmd/terminal(명령 프롬프트와 터미널) Windows 사용자라면 "cmd" 한 번쯤은 경험했을 것이다. 맥 사용자는 terminal에 해당한다. 그렇다. 컴퓨터에 뭔가 문제가 생겼을 때, 구글링 하다 보면 한 번쯤 만나게 되는 검정 화면이다. 명령 프롬프트라고도 하는데, 윈도우 사용자라면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R 키를 누르면 "실행" 창이 뜨고, 여기에 "cmd" 입력 후 엔터를 치면 실행된다. 맥 사용자라면 command 키 +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Spotlight Search" 창이 뜨고, 여기에 "terminal" 입력 후 엔터를 치면 된다. 네이버 Open API 얘기하다 말고 왠 cmd냐고? 우리가 모르는 엄청난 기능이 cmd에 숨겨져 있다. 개발자가 아니라도 일단 API 호출 한 번쯤은 날려 볼 수 있는 것이다. 파파고 번역은.. 2023. 7. 14. SAML과 SSO, 비개발자도 이해할 수 있게 알려드립니다! feat. 네이버로 로그인하기, 카카오로 로그인하기, ERP, Google Sign-in의 비밀 예전에는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새로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만들어야 했다. 요즘은 Google이나 네이버,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RP 시스템이나 구글 워크스페이스 같은 회사 내부의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것도 원리는 같다. 여러 웹사이트 및 앱에 접속할 때 마다 로그인을 해야 한다면 굉장히 불편할 것이다. 우리는 이미 SSO(Single Sign-On)라는 기술로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이런 간편 로그인 기능은 여러 표준 방식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데, 그 중에서도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이라는 표준 기술을 알아보고자 한다. 비개발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보려 한다. SSO(Single Sign-on)란? SSO는 Single.. 2023. 7. 1. 스타트업 투자와 관련된 전반적인 개요: 투자 라운드란? 투자자 입장에서 스타트업은 극 초기 단계의 하이 리스크를 감해야 한다. 창업자는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 것 이상으로 자금을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창업자에게 투자 유치가 중요한 이유는 그래서다. 하지만 투자 유치에 실패하는 경우도 물론 있다. 미국을 예로 들면 스타트업에게 투자 유치는 JOBS법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 그 외 나라에서는 크라우드 펀딩 등 합법적인 온라인 투자가 최근 대두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IPO(주식 공개)를 통한 규제 당국으로부터의 승인(증권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을 포함)이 있기 전까지는 스타트업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지금은 다양한 형태의 IPO가 있어서 규제가 쉽지 않다. 유럽은 스타트업 업계를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시켰다. 70개 이상의 유니콘 기업 및 글로.. 2023. 6. 1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